자낙푸르의 여인들

삶을 그리는 예술가들Janakpur, NEPAL, Asia 네팔의 동남쪽 테라이 지역에는 자낙푸르라는 마을이 있습니다. 그 마을에는 아름다운 벽화를 그리는 여인들이 살고 있죠. 예술가들이냐고요? 맞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예술가들이에요. 농사를 지으면서 그림을 그리거든요. 미술을 따로 배우지 않은 자낙푸르의 평범한 아낙들입니다. 마을 사람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눈물을 흘렸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소박한 시골 마을의 흙벽은 캔버스가 됐습니다. 네팔을 생각하면 하얀 눈이 쌓인 히말라야가 떠오르겠지만, 남쪽에는 푸르고 넓은 평원이 있습니다. 테라이(Terai)라는 곳인데요, 이곳에 네팔 인구의 50% 이상이 살고 있지요.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넓디넓은 땅에서 사람들은 농사를 짓습니다. 눈이 시리도록 푸른 초록이 넘실댑니다. 길거리에는 망고가 주렁주렁 달린 망고나무가 줄지어 있고요. 하늘에 기대 살아온 이들에게 어느 날 고난이 찾아왔습니다. 비가 오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을수 없던 시절, 극심한 가뭄이 든 것입니다. 마을 사람들은 두 손 모아 기도하고 제를 올렸습니다. 하늘은 꿈쩍하지 않았습니다. 땅바닥이 갈라지고 마을 사람들 마음도 타 들어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을의 한 여인이 신을 기쁘게 하려 벽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흙벽에 그들의 간절함을 표현한 것이죠. 하늘이 그 모습에 감복한 걸까요. 기적처럼 비가 쏟아졌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환호성을 지르며 눈물을 흘렸고, 다시 어깨를 덩실대며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됐습니다. 이때부터 이곳 사람들은 하늘에 기도할 때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축제 때도 마찬가지고요. 소박한 시골의 흙벽은 정성 담긴 그림으로 채워진 캔버스가 됐습니다. 하늘에 보내는 메시지, 자낙푸르의 벽화 "할머니에게서 엄마로, 엄마에게서 딸로 그림 그리는 방법이 전수돼 온 것이죠." 네팔에서 동남쪽으로 25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낙푸르(Janakpur)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겨우 250km 떨어져 있지만, 버스 12시간이 걸립니다. 한국이라면 이정도는 KTX로 1시간이면 충분한 거리입니다. 울퉁불퉁 꼬불꼬불, 어떤 길일지 짐작이 가시지요. 자낙푸르에 가면 지금도 벽에 그림을 그리는 여인들과 그림을 볼 수 있답니다. 그림 안에 그들의 일상과 생활, 축제가 담겨있더군요. 그녀들의 그림은 단순하고 선명했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보지 못한 그들만의 개성이 반짝반짝 빛나고 있었습니다. 자낙푸르 여인들은 그림을 어디서 배웠을까요? 농사를 짓다 보면 그림 배우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말입니다. 게다가 그림을 가르쳐주는 곳도 없었을 테고요. 놀랍게도 그녀들은 정규교육을 통해 그림 그리는 법을 한 번도 배운 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녀들은 엄마에게서, 할머니에게서 그림을 배웠다고 해요. 자낙푸르 여인들은 흙벽에 망고나무를, 코끼리를, 새를 그렸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들을 담았습니다. 출산과 결혼, 축제도 중요한 소재였습니다. 그녀들은 그리고 싶은 것들을 그렸습니다. 진흙을 빻아 염료를 만들어 벽을 치장했습니다. 이것이 그녀들의 특별한 전통 미틸라 아트(Mithila Mural)랍니다. 지금은 여기에 한 가지 아름다움이 더해졌습니다.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시작된 그림 그리기는 벽에서 종이로, 그리고 천으로 재료가 다양해졌습니다. 그러면서 그녀들은 더 활발하게 그림을 그리게 되었습니다. 자낙푸르 여인들의 작품은 독창적이었습니다. 다른 그림들을 그렸죠. 그녀들은 뛰어난 현대 예술가로 인정을 받으면서, 미국과 영국, 독일, 벨기에 등 세계 각국에서 전시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그녀들은 작품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전통을 지켰으며 예술가가 되는 즐거움을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그림으로 자낙푸르 여인들은 경제적으로 스스로 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틈틈이 그림을 그리고, 그렇게 번 돈으로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고 맛있는 밥을 지었습니다. 개성 넘치는 그림 자체도 훌륭하지만, 작은 마을의 여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이어갈 수 있게 해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더군요. 자낙푸르의 예술가, 만달 예술가가 되는 것은 진정 즐거운 일이라는 것, 꼭 배워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 이렇게 세상이 조금씩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 자낙푸르의 예술가 만달을 만난 것은 JWDC(Janakpur women development center)의 공동 작업실에서였습니다. JWDC는 자낙푸르 여인들이 모여서 작품 활동을 하는 곳으로, 그녀들을 지원하는 NGO입니다. 이곳에서는 자낙푸르 여인들이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답니다. 무심한 표정으로 그림을 그리는 여인들을 보고 있었더니 반나절이 훌쩍 흘렀습니다. 그러고 나니종이 위에 그려진 그림이 아닌 벽에 그려진 그림이 더 보고 싶어지더군요. 어디에서 볼 수 있는지 물었더니, 아쉽게도 마을에 벽화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는 답이 돌아왔습니다. 축제가 되기 전 벽화를 다 지운다고 하더군요. 새 벽화를 그리기 위해서 말이죠. 하필이면 그때가 축제를 앞두고 있던 때라, 벽화가 남아있는 집이 거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때 구세주처럼 등장한 사람이 만달이었습니다. 집에 아직 벽화가 있다면서요. 만달은 점심시간을 저에게 나눠줬습니다. 종이 땡 하고 울리자 만달이 앞장섰습니다. 하늘은 파랗고 논의 벼들은 푸르게 익어가고 있었죠. 나무 그늘에는 아이들과 엄마들이 염소들과 함께 더위를 피해 이야기꽃을 피우고 있었고요. 여기저기서 아이들과 소가 우르르 나타났다 사라졌다 반복했습니다. 햇살은 엄청나게 뜨거운데, 만달의 발은 맨발이었습니다. 그렇지만 멋진 귀걸이와 화사한 옷을 입고 있었습니다. 집이 가깝다고 해서 따라나섰는데, 한참을 걸었습니다. 모르는 길이라 더 멀게 느껴졌을까요? 40도가 넘는 뜨거운 햇살 아래 이미 시계는 30분 이상 흘러있었습니다. 그렇게 걷다 보니, 눈앞에 루브르 박물관에 있어야 할 것 같은 멋진 벽화가 나타났습니다. 우와! 감탄사가 마구 터져 나왔습니다. Empowerment through the tr adition 훌륭한 작품이었습니다. 엄지를 추어올리는 저를 보고 만달의 얼굴에 웃음이 피어올랐습니다. 주변에 있던 아이들은 까르르 웃기 시작했습니다. 매일 아무렇지도 않게 보는 그 벽화를 감탄하면서 보는 모습이 신기했나 봅니다. 만달은 집으로 들어오라고 하더군요. 시골생활이 그렇듯 살림살이는 단출했습니다. 영어를 잘하는 아들과 수줍음 많은 딸과 함께 살고 있더군요. 갑자기 동네 아이들이 만달네 집 안으로 쓰나미처럼 밀려들었습니다. 이런 이런, 만달에게 친척아이들이냐 물었더니 동네 아이들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아이들이 다른 집에 막 들어와도 되느냐고 물었더니, 이곳에선 남의 집에 마음대로 들락날락한다는 군요. 특히 아이들은 말이죠. 어디든지 갈 수 있는 거죠. 한마디로 '프리덤'이라고요. 갑자기 만달이 제 손을 잡더니, 집 뒤로 갔습니다. 왜 그런가 했더니 그곳에도 벽화가 있더군요. 소가 얼굴을 밀고 있는 모습이 무척 유쾌했습니다. 이 벽화에도 감탄하는 저를 보고 이번에도 아이들이 박장대소를 하더군요. 그들의 웃는 얼굴이 좋아, 땀으로 새까매진 제 얼굴에도 엄마 미소가 퍼졌습니다. 만달과 함께 부지런히 JWDC로 돌아왔습니다. 만달은 그림을 그리러 작업실에 들어가고 저는 마루에 앉아 포토프린터를 꺼냈습니다. 멋진 작품을 보여준 만달에게 사진을 선물하고 싶어서였죠. 밝게 웃는 모습이 잘 나와 뿌듯했습니다. 만달도 무척 좋아하더군요. JWDC를 나오기 전에는 그녀와의 만남을 기억하기 위해, 만달의 작품을 골라 가방에 넣었습니다. 긴 하루였습니다. 자낙푸르 여인들을 만나는 동안 그녀들에게 빠져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여기 왜 있는지도 모른 채 즐겁게 그 속에 녹아있었습니다. 예술가가 되는 것은 진정 즐거운 일이라는 것, 꼭 배워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 이렇게 세상이 조금씩 더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 전통을 가지고 삶을 긍정적으로 바꾸어가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준 자낙푸르 여인들, 특히 만달, 참 고맙습니다. 글 | 채지형사진 | 채지형 artravel vol. 2

ARTRAVEL

LOG IN 로그인
  • HOME
    • MAGAZINE
      • STORY
        • SHOP
          • HOME
            • MAGAZINE
              • STORY
                • SHOP

                  ARTRAVEL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ARTRAVEL

                  • HOME
                    • MAGAZINE
                      • STORY
                        • SHOP

                          ARTRAVEL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ARTRAVEL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그루벌미디어 | 대표: 조익현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조익현 | 전화: 070-8635-5561 | 이메일: cap@artravel.co.kr

                          주소: 서울시 강동구 천중로 39길 18, B03 | 사업자등록번호: 778-05-00734 | 통신판매: 제 2015-서울강동-1717 호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